2009년 9월 30일 수요일

Linux 종류 : 개인적인 생각들의 정리

지금까지 많은 리눅스를 사용해보면서 느낀 것은 자기에게 딱맞는 것 1~2가지만 열심히 사용하자다.

그많큼 종류도 많고, 설정방법이 조금씩 틀려서 사용하기 힘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리눅스 유닉스마다 다른 사용방법을 매번 공부할 수는 없었다.

완전 시간 낭비다.

 

나는 Redhat으로 처음 리눅스를 배웠고, Fedora를 거쳐 ubtoo, gentoo, Asianux, Solaris(unix), FSB(unix)

, slackware, LFS 까지 오게 되었다.

( 이 밖에 더 많은 리눅스들이 있고 외국사이트에 잘 정리되어 있다. 대충 100여가지 넘는 것으로 보인다. )

 

자 그럼 우린 이중에 뭘 써야 할까...???

특별한 답을 구하기 참 힘들다.

사람수 만큼이나 답이 여러가지 일 것이다.

결국 어느정도 리눅스를 배우고 나면 다른 리눅스들을 사용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리눅스를 찾아야한다.

 

 

다음 내용들은 지금 내가 쓰고 있는 Linux  몇가지들...

=================================================================================

 

Fedora

홈피       www.fedoraproject.org

설치       보통(gui mode)

기본       불필요한 것들도 많이 포함되어 설치(선택가능)

부트로더 Grub

GUI        Gnome, KDE, XFCE

패키지    rpm라는 패키지로 관리

추가       www.rpmfind.net 에서 .rpm 들을 찾을 수 있고, 패키지가 상당히 많다.

             yum을 이용하여 online 설치가능

             rpm-fusion을 이용하여 의존성을 해결한 좀 더 쉬운 설치 가능해짐

 

=================================================================================

 

Slackware  지금까지 사용한 리눅스중 가장 안정적이다.

홈피       www.slackware.com

설치       약가 어려움(text-gui mode)

기본       거의 필요한 것들만 설치(선택가능)

부트로더 lilo (grub이 좋은데 좀 아쉬운 부분, 설치가능)

GUI        KDE, XFCE, etc... (exclude gnome)

패키지    tgz라는 패키지로 관리

추가       www.slackbuild.org (추가적인 패키지 생성스크립트 제공)

             www.kldp.org (12.1 이전버전을 위한 한글 입력기 개발 배포)

             처음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 있다.

 

=================================================================================

 

Slax       liveCD를 USB에 가지고 다니고 싶다는 생각에서 찾다보니 Slax 을 발견하였다.

홈피       www.slax.org 

설치       매우쉬움( 무설치 )

기본       100MB쯤의 중요 코어 모듈만 있음 (추가모듈 구성가능)

부트로더 grub, lilo

GUI        KDE,XFCE, etc

패키지    tzm이라는 모듈사용 ( 사이트에 접속하여 모듈선택 자동으로 설치 )

추가       tgz->tzm가능 마치 ipod touch처럼 프로그램 모듈을 직접 개발 가능 사이트에 올릴수있음

 

=================================================================================

 

 

LFS       나만을 위한 배포판 좀더 작고 멋진 리눅스를 만들어 보겠다고 찾다가 LFS를 발견하였다.

홈피       www.linuxfromscratch.org

설치       어려움( 직접 컴파일해가면서 처음부터 리눅스를 만듬 )

기본       LFS->BLFS 원하는 만큼 설치가능

부트로더 grub

GUI        XFCE, etc 원하면 설치가능

패키지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소스코드 컴파일을 통해서 리눅스를 만든다.

추가       사이트에 나온 책을 보면 설치과정이 잘 설명되어있으며,

             명령어 사용능력이 요구된다 (설치하면 스크립트와 명령어 사용법에 큰 도움이 된다)

             배포판이 없는 형태로 소스컴파일로 설치하지만 자동화 스크립트가 존재한다.

            

타이핑으로 2주정도 걸렸고, 자동화 스크립트로 4시간 정도 걸렸다. ( 단 LFS )

 

==================================================================================

Option

Vmware  하나뿐인 서버를 다양하게 이용하기 위해 찾던중 발견

홈피       www.vmware.com

설치       보통( 윈도우를 설치할정도면 충분 )

기본       무료패키지중에서 vmware-server, ESX가 있다.

호스트    vmware-server(win,linux용 모두 무료)  

             ESXi(vmware 를 기본 O/S 로 사용)

GUI         vmware-server( web, console로 관리할 수 있다.)  

             ESXi( web, console)

패키지    vmware를 사용해본 사람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       리눅스에서 설치 사용하기가 조금 애매할 수 있다.

             (slackware에서 설치했을때 2.0버전에서 web 관리 접근이 실패하였다.)

             특히 ESX서버는 Host o/s없이 구동되므로 자원을 좀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Xeon3.2G 6G-ram 146scsix4ea상태에서 ESX 구동하여 서버3개를 동시에 운영해보고,

동일한 H/W 상태에서 slackware위에 vmware-server 구동하여, winXP, linux, LFS-test를 운영하였다.

 

===================================================================================

Option

UnetBootin CD굽는 것도 지쳤다 USB로 부팅 설치하자

홈피       unetbootin.sourceforge.net

             unebootin (blog내에 usb설치 CD 관련 검색)

설치       매우 쉬움( 윈도우 리눅스 어디서든 가능)

추가       복수개의 리눅스 설치 USB는 아직 성공하지 못했음

             CD만드는 것보다 시간이 많이 걸림.

             CD로 설치하는 것보다 상당히 빠름.

 

설치시 CD는 좀 느린 감이 없지 않아 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치를 추천한다.

  1. HDD 공간이 충분하다면 iso 파일을 다른 파티션에 넣어놓고 설치한다. (CD or USB부팅)
  2. 네트워크가 충분히 빠르다면 ftp를 열고 네트워크 설치를 한다.
  3. USB를 만들어 설치한다.
  4. DVD가 있다면 DVD설치를 하자
  5. CD 느리고 바꿔주는 귀찬음.ㅜㅜ

설치시 환경을 고려하여 설치하는것이 좋다.

  • HDD공간이 부족할수 있다.
  • 유선네트워크도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 4G이상의 USB에 내가 설치하고자 하는 Linux가 꼭 들어가 있으라는 법은 없다.
  • DVD-rom이  없을 수 있다.
  • CD는 파일명 길이제한이 있을 수 있다.
  •  (Fedora에서 예전에 java를 설치할때 이것때문에 고생한 적이 있다.)

그래서 내가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복구 CD or 부팅가능한 usb)+ (ISO가 담긴USB) 이다.

===================================================================================

 

2009년 9월 26일 토요일

USB로 XP설치하기 No1. : WinSetupFromUSB

좀 옛날 방법인듯

만드는데 시간이 꽤 걸리므로 귀찮을 수도 있으나 설치시에 빨라서 종종 사용함.

 

화살표 순서대로 셋팅하시면 OK~!

1. USB 선택

2. Format

3. XP CD가 있는 drive 찾기 (Daemon사용하시면 OK)

4. 활성화 된 Go버튼 누르기

 

나머지 option들은 잘 아시는 분만 쓰시길 근데 생각보다 잘 안먹어서 전 잘 안씁니다.

Linux는 ISO를 불러드리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windows도 있다고만 들었습니다.

이것 말고도 snoopy blog에 가시면 최근 방법이 하나 올려져서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다른 프로그램들...

 

 

 

 

 

 

 

 

 

 

 

사용상 약간의 차이가 버전별 프로그램별로 존재하나

쓰다보면 모두 비슷한 방식입니다.

 

자 이제 여러분의 몫입니다. 해보세요

2009년 9월 25일 금요일

Low Level Format


  HDD Low Level Format Tool의 장점

1. 다른 프로그램보다 로우 레벨 포맷을 빠르게 처리한다.
2. 여러 제조회사의 하드 디스크를 지원한다.
    Maxtor, Hitachi, Seagate, Samsung, Toshiba, Fujitsu, IBM, Quantum, Western Digital
3. 여러가지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S-ATA (SATA), IDE (E-IDE), SCSI, USB, FIREWIRE. Big drives (LBA-48)

  HDD Low Level Format Tool 사용법


1. HDD Low Level Format Tool을 다운받는다.
    HDDGURN.COM 에 접속하여 HDD Low Level Format Tool ver.2.36 build 1181 를 다운 받으세요.

2. HDD Low Level Format Tool을 실행한다.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면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포맷할 장치를 선택하고 Continue를 클릭한다.

3. LOW-LEVEL-FORMAT 탭을 선택하고 FORMAT THIS DEVICE 버튼을 클릭한다.

첫번째 탭에서 선택한 장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FORMAT THIS DEVICE 버튼을 클릭하면 확인창이 나옵니다.


ARE YOU ABSOLUTELY SURE YOU WANT TO DESTROY ALL DATA ON THE DRIVE?
( 너는 확실히 하냐 드라이브의 모든 데이터를 지우기를 원하냐? ) 대강 이런 의미임.
로우 레벨 포맷을 하면 더이상 데이터 복구는 불가능 하기때문에 한번더 확인창을 통해 확인하는 것입니다. Yes를 클릭하면 로우 레벨 포맷이 시작합니다.



윈도우에서 클릭 몇번으로 간단하게 로우 레벨 포맷을 할 수 있습니다. 포맷 도중에는 다른 작업을 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009년 9월 15일 화요일

RamDisk unmanaged-part 사용하기

일반적으로 XP의 32bit 아키텍쳐는 4GB중에 3.25까지 인식

XP의 SP3를 깔고 boot.ini setting

[boot loader]

timeout=30

default=multi(0)disk(0)rdisk(0)partition(1)\WINDOWS

[operating systems]

multi(0)disk(0)rdisk(0)partition(1)\WINDOWS="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noexecute=optin /fastdetect /PAE /3GB /USERVA=2800

 

실제주소 확장

 

RamDisk 버젼인 SuperSpeed사의 RamDisk plus 9.x

10.x 도 비슷 거의 동일합니다.

RamDisk Plus 설치시에만 보입니다. (라이센스에서....)

 

Option-> Use wizards + Use Advance

 

 

 

File->Memory



Unmanaged

 

Reserved Pending-> '0' 변경  

<10.x에서는 CheckBox로 활성화 됩니다.>

 

Add->Direct address memory NOT managed by Windows

<10.x에는 없으므로 pass..>




 

작업 관리자 켜놓고, 메모리 확인하시면서 해보세요.

전 6G중에 3G ramdisk 씁니다.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