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 23일 월요일

Fedora12 x86_64 에서 flash-plugin error


Fedora 13 x86_64 adobe flash player 내용으로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우리의 최대 관심사는 원활한 인터넷환경이다.
특히 naver.com 과 같이 첫화면에서 flash있는 우리나라 인터넷 환경에서
flash가 안보이는 상황은 용납하기가 어렵다.

예전 Fedora6쯤에서는 auto-install이 가능했었는데
어찌된 것인지 x86_64 에서는 flash-plugin 이 잘 안먹는다.
친구가 centOS 를 설치할때도 비슷한 상황을 본 적이 있다.



다음 2가지를 염두하고 설치하자.


  1. YUM 이라는 편리한 도구를 사용하자.

  2. RpmFusion 이라는 편리한 방법을 사용하자.
특별한 것은 없다.
Repositories 들을 이용하여, package 를 설치 방식이다.
이전에 yum을 사용해본 사람이라면, 좀더 확장되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는 http://www.rpmfusion.org site의 RPM Fusion에 대한 정의다.


메인에서 configuration으로 들어가자.

동일한 page 아래쪽에 있는 다음 명령을 command 창에서 실행하자.
pakage 설치는 항상 root 권한으로 실행 된다.



  • rpm --impot  /etc/pki/rpm-gpg/RPM-GPG-KEY-*
을 실행하여 key 를 import하지만 Fedora12에서는 필요없다.

이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Adobe application들도 repository를 사용한다.
따라서 repository를 등록해야 하는데, adobe.com 에서 받을 수 있다.


yum type을 선택하면 adobe-release-i386-1.0.1.noarch.rpm 을 받을 수 있다.
이 package는 프로그램이라기 보다 repository 등록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자.


  • yum install adobe-release-i386-1.0.1.noarch.rpm
공개키 설정이 안되었다는 화면이 보이면서 실패할 것이다.


  • rpm -Uvh adobe-release-i386-1.0.1.noarch.rpm
rpm으로 설치하거나



    • yum --nogpgcheck adobe-release-i386-1.0.1.noarch.rpm
    으로 설치하자


    • yum install flash-plugin

    -y 옵션은 생략했는데, 무엇을 설치하는지, 버전은 무엇인지 확인 해볼 것을 권장한다.
    flash-plugin-10.0.32.18-release.i386 이 설치 된다면 성공이다.


    또한 /usr/lib/mozilla/plugin/libflashplayer.so -> /usr/lib/flash-plugin/libflashplayer.so로


    링크가 걸려있는지 확인하길 바란다. 보통 두가지 모두 확인 되면 flash가 보인다.


     


    그래도 안보인다면,


    Adobe site에서는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가끔씩 설치후에도 flash가 안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때는 Package를 지우고 다시 설치하기를 반복하면 성공할 수 있다.


    (조금 무책임 한 글. 정확한 내용은 참고를 확인해주세요)



    • 참고

    • AdobeReader 또한 yum으로 설치 가능하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한다면 package download 화면의 Installation Instructions 를 확인하자.

     


     

Picasa3.0 signup failed (12157)


인터넷으로 로그인 하고, picasa application에 접속한 상태에서 Error 발생.
다음 Error detail을 확인 하였다.
  • HttpOpenRequest failed (12157) -
  • https://www.google.com/accounts/ClientAuth [13]
이런 황당하다.
Googling하여 외국분이 성공한 내용을 찾았다.
별다른 내용은 없다. dll.so 라이브러리를 바꿔주는게 전부.
나도 따라서 실행. 성공~!

기쁜 마음으로 우리 아이 사진을 올리려는 순간 발생하는
정말 황당한 signup failed을 해결하자.
  1. cd /opt/google/picasa/3.0/wine/lib/wine
  2. mv ./wininet.dll.so ./wininet.dll.so.bak
  3. cp -v /usr/lib/wine/wininet.dll.so ./
  4. picasa 재실행

  • 주의사항
  • 자신의 computer에는 wine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 picasa는 wine을 이용하지만 wine폴더를 공유하지 않는다.
  • Fedora12 x86_64bit 에서 실행하였다.

YUM GUI

Fedora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yum을 한번정도는 사용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GUI 환경에서는 좀더 확장된 yum은 사용하자.

Yum Extender Graphical package Management tool이다.
  • yum install yumex
라고 설치하면 끝이다.
사용은 root 권한으로 실행하며, root 계정상태에서는 실행할 수 없다.(command 창에서)

실행하면 root 권한을 위해 암호를 입력하고 다음 창이 뜬다.

  • Package정도를 습득하는 과정으로시간이 조금 걸린다.

  • 완료된 화면이다. 기존의 설치된 ( Installed ) 또는 업데이트 가능한 목록 ( Updates ) 을 보여준다.

  • 여기서 중요한것을 Group을 선택했을 때 나타난다.


  • check box를 통하여 새롭게 설치할것인지 기존 package를 지울지를 선택할 수 있다.
  • 주의할 점은 지울때 의존성이 연관되어 있다면 그 package도 지워진다.


  • Repository 들 중에 사용할 것과 사용하지 않을 것을 선택할 수 있다.


  • command 창에서 실해한 yum 과 동일하지만 GUI 환경에서는 package들을 확인하고 설치하는 절차가 매우 간편하다.


  • 참고사항
  • yum 설치는 4단계로
  1. 의존성 확인
  2. 다운로드
  3. 트랜잭션 test
  4. 설치후 트랜잭션 확인이다.
  • 이들중 의존성에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 log 목록을 확인하고 check를 지우면 정상적으로 재진행 된다.
  • 또한 동일한 이름이지만 i686과 x86_64라는 다른 package가 존재한다.

2009년 11월 15일 일요일

가상화 지원 확인하기 : CPU, H/W

요즘 Windows 7이 나오면서 가상화 지원 여부가 화두 인것 같다.

여기 저기 확인해보니 다음 두개 정도면 충분한 것같다.

  1. CPU확인 인텔 제공         (설치버전)
  2. H/W, CPU 확인 유틸리티 (무설치버전)

 

 

 

다음은 실행한 화면이다 . 특별히 설명할 것이 없다.

우리가 알고자 하는 사실이 간단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고, 매우 직관적이다.

 

 

2009년 11월 5일 목요일

Linux 종류 : Time-Line (계보) & 배포판 정리된 사이트

 리눅스 배포판 계보를 제공하고 있다.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이곳에 가보자 정말 잘 정리되어 있다.

특징들과 비슷한 리눅스들도 설명해준다.


개인적으로 Slackware, LFS, Fedora, Gentoo 정도 좋아하며, 장단점이 있다.

Slackware를 사용하면서 리눅스를 좀 더 자세히 보게 되었고,
LFS 를 사용하면서 셸 스크립트 능력이 엄청나게 향상되었다.
Fedora는 최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빠르게 지원해서 노트북에 쓰기 좋고,
Gentoo는 최근에 사용하기 시작해서 잘 모른다.

이 밖에 다양한 리눅스들의 정보가 올려져있고, 배포판 release 정보도 항상 업데이트되고 있다.


2009년 11월 4일 수요일

Slackware Printer 사용하기 : CUPS

실력이 없어서인지 아니면 별로 쓸모가 없어서 인지 몰라도,
어제까지 나는 리눅스에서 프린트를 해본적이 없다.

그런데 이제는 조금 필요해 졌다. 그래서 프린트 사용을 해보려고 노력해보았다.
  • 과거에 'Fedora' 에서 하던 방법을 시도.                   실패
  • 'CUPS' 를 사용해보기 위해 'damon' 을 구동시킴.        실패
  • 다른 Blog 글을 참고하여 시도.                                실패
  • 13.0 버전에 있는 HPlip 프로그램 사용함.              1차실패
CUPS 에러가 계속 발생.
PPD   에러가 계속 발생.

  • HPlip 버전업그레이드 동일한 에러 발생.                2차실패
결국 차근차근 다음 사이트를 읽어봄.
혹시나 해서 http://localhost:631/ 접근해보았는데
  • CUPS 실행중
  • WEB 을 통하여 Printer 설치
USB
Network
Parallel
Samba
  • Slackware 구동중에 printer 사용 가능                      성공
다음은 CUPS web 접근한 부분이다.


  • Name 은 컴퓨터를 식별하는 이름으로 몇가지 문자는 제외된다.
  • 나머지는 우리들이 보기 편하게 붙여주는 이름들이다.

  • 어떻게 연결되있는 장치인지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 대부분 비슷하면 여기서는 'Network printer' 를 설정하는 과정만 보인다.
  1. 아래에 드롭다운된 메뉴중에서 IPAddress로 되어 있는 장치를 선택한다.
  2. 새로운 'IPAddress' 의 'Printer' 는 'AppSocker/HP JetDirect' 를 선택한다.

  • Device URI를 입력해야 하는데 모른다면 다음 그림을 참조하여 작성하자

  • hplip이 설치되어 있다면 다음 IP 를 갖는 Printer 주소를
  • 'CUPS URI' 로 변경해준다.

  • 마지막으로 장치를 찾아서 설정하면 되는데
  1. 1. 장치 이름으로 설정하는 것
  2. 2. 장치명을 알고, PPD파일의 위치를 안다면 바로 설정.

  • 자 설치에 성공하였다면 이렇게 보인다.
  • 위쪽은 Network Printer
  • 아래는 USB Printer

지금까지는 모두 rdesktop 으로 MS원격데스크탑을 연결하여서 프린터를 했지만,
별로 어렵지 않다. 단지 X-window 상에서  hp-toolbox 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아 포기했을 뿐이다.
이제 Slackware에서 바로 프린터를 사용하자.

참고.
Slackware 는 Runlevel 에 따라 실행되는 Daemon을
  • /etc/rc.d/rc.[1-6]/'K... or S...'    식으로 관리하지 않고
  • /etc/rc.d/'rc.[046KMS]' 파일로 관리하며, 실행권한 을 변경하는 식으로 관리한다.
  • CUPS 는 rc.M 에 포함되어 있어서 실행 권한만 chmod 755 ./rc.cups 로 변경하면 된다.




2009년 11월 2일 월요일

USB로 XP설치하기 No2. : Unebootin in Linux & XP

Unebootin 은 sourceforge 에서 공개한 USB Booting 설치 프로그램이다.
이 밖에 몇 가지 방법들이 있는데,
 WinSetupFromUSB를 사용한 사람들이 사용하기 편하며,
열거된 3가지도 unebootin 거의 비슷하다

site 내에 사용법이 올라와 있으며, WinSetupFromUSB와 매우 비슷하다.
조금 더 편할 수도 있다.
  •  Bug 또는 호환성이 떨어지는 면들도 약간 있다.
예전에 'Fedora DVD' 를 'USB' 로 만들었으나 
설치중에 새로운 DVD image를 찾기도 하여
'DVD-image' 를 USB '/' directory로 복사했던 기억이 있다. ( 4G+4G )

호환성에 대한 글들도 있다. 자기가 설치하려는 Linux 가 되는지 확인해보거나
만들어 보면 되는지 안되는지 알 수 있다.

지금까지는 WindowsXP를 기준으로 말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물론 사용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Linux 에서 어떻게 사용하는가.

두가지 방식이있다. CUI 방식과 GUI 방식이다.

 



Slackware Gnome desktop 설치하기

'Slackware 10.0' 이전 버전에는 'Gnome' 있었는지 모르지만
지금은 'Gnome desktop' 은 빠져 있다.

Slackware를 위한 'Gnome desktop Build site' 이다.

이 곳에서 Download & Install 을 선택하자.
두가지 설치방법을 가르쳐 주고 있다.

이 중에서 Quick and easy Install 을 보면 다음 명령 두개가 보인다.

  1. x86 : lynx --source http://gnomeslackbuild.org/net-install | bash
 실행하게 되면 모두 자동으로 설치되는데,
  • 가끔 서버가 죽어 있을 경우 설치도중 중단된다.
  • 새벽 설치는 지금까지 많이 실패했다. 오전 설치는 권유하고 싶다.
그때는 다시 실행하면 중단된 부분부터 다시 실행한다.

나머지 밑에 부분은 차근 차근 읽어서 실행하자.
 결국 자동화 한 'script file' 을 손으로 직접 실행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 버전별로 script file이 다르다.
주의 하자.

참고.
지금 이 글을 쓰는 컴퓨터는 'fujitsu P7010' 이다.
 'Slackware' 에서 '3D desktop' 을 사용하려고 노력해보았지만
모두 실패하였고, ' Gnome' 에 있는 '3D effect' 도 실패하였다.

( 이 Laptop 사용자들중에 성공한 사람들은 알려주시길..ㅜㅜ)

Slackware package 변경하기 : RPM to tgz

slackware 에는 'rpm2tgz' 라는 명령이 있다.
이 것은 'RPM->tgz' 로 변경해준다는 명령인데,
다시말해서 'RPM' 으로 미리 컴파일된 'package' 를 'tgz package' 로 변경해준다.

이미 컴파일된 'RPM package' 를 사용하므로써 시간적 이득을 볼수 있고,
더 많은 프로그램을 관리되는 형태로 설치 및 삭제 할 수 있다.

단, 모든 'RPM package' 들이 완벽하게 호환된다고 보장 할 수 없다.
특히 Adobe Reader 같은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래도 쉽게 설치하고 쉽게 지우므로 실험적으로 사용해 볼 수 있다.

다음 2단계의 명령으로 'smplayer'  를 설치할 수 있다.
  1. '  rpm2tgz ./smplayer. ... .i586.rpm    ' 으로 RPM->tgz 로 변경한다. 버전, arch. 에 주의하자.
  2. '  installpkg ./smplayer. ... . i586.tgz ' 으로 변경된 tgz 파일을 install 시킨다.

계속 진행됩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KLDP link를 참조하자.
http://wiki.kldp.org/wiki.php/LinuxdocSgml/RPM+Slackware

2009년 11월 1일 일요일

Slackbuild 사용하기

'Slackware' 에서는 *.tgz라는 package형태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관리한다.

그런데 'www.slackware.com' 에서는 CD or DVD에 담겨져 있는 파일 이외에는 다른 프로그램은 찾을 수가 없다. 또한 rpm처럼 미리 tgz로 컴파일된 파일들만 따로 모아져 있는 곳들도 없다.

 

하지만 slackware에서는 slackbuild라는 것으로 검증된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관리한다.

미리 컴파일 되어있지 않지만 직접 컴파일 하여 .tgz 파일로 만들 수 있는 script file 들이 들어 있다.

 

galculator 라는 계산기를 검색한 모습니다.

 

 

버전별로 구별되며 버전이 틀리면 설치시 호환성을 장담할 수 없다.

 

간단한 설명과 파일들의 링크를 볼 수 있는데,

다음 4가지 동작으로 이곳에서 검증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1. Source와 SlackBuild를 각 각 하나씩 다운받자.
  2. ' tar xvfz galculator.tar.gz                     ' 로 압축을 풀자.

  3. ' mv galculator-1.3.4.tar.bz2 ./galculator ' 로 파일을 폴더로 옮기자.

  4. ' ./[a-zA-z]*SlackBuild                       ' 로 SlackBuild 파일을 실행하자.

  5. ' installpkg /tmp/ ... .tgz                       ' 로 컴파일후 화면에 표시된 .tgz 파일을 설치하자.

 

  • 13.0 부터는 64bit, 32bit Slackbuild가 구분된다.
  • Source-file을 모두 SlackBuild가 있는 곳으로 옮겨야 정상적으로 컴파일 된다.
  • Source 에 나온 목록을 전부 받아서 3번처럼 폴더로 옮겨야 컴파일 된다.
  • Segment Fault 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프로그램은 X-window 밖에서 컴파일하자.

  • 모든 컴파일 동작은 '/tmp/SBo' 에서 이루어지며, 완료된 '.tgz' 파일은 '/tmp' 에 있다.
  • 4번동작에서 ' time ./ ... '을 넣으면 실행 시간도 알 수 있다.
  •  단 큰모듈은 구분하여 Build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아키텍쳐가 같다면 .tgz파일만을 copy해서 설치할 수 있다.

 

시간상 맨 마지막 실행 모습은 생략했다.

 

Slackware 13.0 한글 사용하기

처음 'Slackware' 사용자라면 한글 사용하기 참 난감하다.

기존에 release된 12.1까지는  KLDP.net에서

slackware korean package project를 통하여 한글을 사용할 수 있도록

slackbuild type의 package들이 올라와져 있다.

 

지금부터 '한글 사용하기' 라는 이름으로 설명하는 것은 한글 입력에 대한 내용이다

'X-window' 화면에서 보여지는 한글은 '설정' -> '국가 및 언어' -> '국가' 를 변경하면 된다

한국으로 변경하지 않을 경우 한글폰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추가적으로 Linux에서는 한글 font 가 거의없다.

'c:\windows\Fonts' 안에 파일들을 -> '/usr/share/Font/' 외 필요한 곳에 복사해주자.

설정에서 글꼴을 변경해주면 대부분 글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KLDP에서는 은폰체를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럼 '12.2' 와 '13.0' 에서는 어떻게 한글을 쓸수 있는가?

12.1 부터는 'SCIM' 이라는 입력기가 존재한다.

이미 설치되어 있으나 'Fedora' 와 같이 활성화가 되어있지 않을 뿐이다.

메뉴에서 'SCIM' 을 실행하면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제 X-window가 실행될때 자동으로켜지도록 하면된다.

 다음 내용을 '~/.xinitrc' 에 추가하자.

export XMODIFIERS="@im=SCIM"               
export LC_CTYPE="ko_KR.eucKR"              
export GTK_IM_MODULE="scim-bridge"      
export QT_IM_MODULE="scim-bridge"        

  중간에 export하는 부분밑에 같이 적어주거나 맨마지막줄 x-window구동전에만 적어주면 된다.

*참고*
' /etc/profile.d/ '밑에 있는 파일들중 'lang.sh, scim.h' 을 읽어 보길 바란다.
KLDP 에 나온 12.1 한글 설치 설명을 보면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
http://wiki.kldp.org/wiki.php/SlackwareKoreanPackages

  '/usr/lib/gtk-2.0/gtk.immodules' 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usr/lib/gtk-2.0/immodules/im-scim.so"  
"scim"                                                   

"SCIM"                                                 

"gtk20"                                                  

"/usr/share/locale"                               

"ja:en:th:zh:ko"                                     

Slackware에서는 'xwmconfig' 라는 명령어로 쉽고 같편하게 x-window를 변경이 가능한데,

이때 x-window를 변경하면

/etc/X11/xinit/xinitrc.[kde,xfce,gnome ... ]

으로 준비된 파일을 ->'~/.xinitrc' 로 변경해준다.

물론 기존 파일은 백업된다.

한가지 x-window만 사용하지 않느다면, 파일들 내부에 전부 붙여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