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 1일 일요일

Slackware 13.0 한글 사용하기

처음 'Slackware' 사용자라면 한글 사용하기 참 난감하다.

기존에 release된 12.1까지는  KLDP.net에서

slackware korean package project를 통하여 한글을 사용할 수 있도록

slackbuild type의 package들이 올라와져 있다.

 

지금부터 '한글 사용하기' 라는 이름으로 설명하는 것은 한글 입력에 대한 내용이다

'X-window' 화면에서 보여지는 한글은 '설정' -> '국가 및 언어' -> '국가' 를 변경하면 된다

한국으로 변경하지 않을 경우 한글폰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추가적으로 Linux에서는 한글 font 가 거의없다.

'c:\windows\Fonts' 안에 파일들을 -> '/usr/share/Font/' 외 필요한 곳에 복사해주자.

설정에서 글꼴을 변경해주면 대부분 글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KLDP에서는 은폰체를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럼 '12.2' 와 '13.0' 에서는 어떻게 한글을 쓸수 있는가?

12.1 부터는 'SCIM' 이라는 입력기가 존재한다.

이미 설치되어 있으나 'Fedora' 와 같이 활성화가 되어있지 않을 뿐이다.

메뉴에서 'SCIM' 을 실행하면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제 X-window가 실행될때 자동으로켜지도록 하면된다.

 다음 내용을 '~/.xinitrc' 에 추가하자.

export XMODIFIERS="@im=SCIM"               
export LC_CTYPE="ko_KR.eucKR"              
export GTK_IM_MODULE="scim-bridge"      
export QT_IM_MODULE="scim-bridge"        

  중간에 export하는 부분밑에 같이 적어주거나 맨마지막줄 x-window구동전에만 적어주면 된다.

*참고*
' /etc/profile.d/ '밑에 있는 파일들중 'lang.sh, scim.h' 을 읽어 보길 바란다.
KLDP 에 나온 12.1 한글 설치 설명을 보면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
http://wiki.kldp.org/wiki.php/SlackwareKoreanPackages

  '/usr/lib/gtk-2.0/gtk.immodules' 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usr/lib/gtk-2.0/immodules/im-scim.so"  
"scim"                                                   

"SCIM"                                                 

"gtk20"                                                  

"/usr/share/locale"                               

"ja:en:th:zh:ko"                                     

Slackware에서는 'xwmconfig' 라는 명령어로 쉽고 같편하게 x-window를 변경이 가능한데,

이때 x-window를 변경하면

/etc/X11/xinit/xinitrc.[kde,xfce,gnome ... ]

으로 준비된 파일을 ->'~/.xinitrc' 로 변경해준다.

물론 기존 파일은 백업된다.

한가지 x-window만 사용하지 않느다면, 파일들 내부에 전부 붙여주면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